분류 전체보기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두대간 종주 - 14구간 (지기재~화령) 1. 14구간 (지기재~화령) 들머리: 지기재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석산리 77-1번지 날머리: 화령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곡리 508-3번지 산행 일시: 2020년 7월 11일 산행 구간: 지기재~신의터재~무지개산삼거리~윤지미산~화령(16km) 산행 시간: 5시간 55분 (대간:16km, 접속0km) 2. 산행 후기 지기재에서 07시 4분에 출발한 산행은 08시 18분에 신의터재에 도착하여 잠시 담소를 나눈다. 신의터재에는 식수를 보충할 수 있다. 10시 10분에 무지개산삼거리를 지나 자리를 잡고 준비한 재료로 비빕밥을 만들어 나누어 먹는다. 윤지미산에는 11시 55분에 도착한다. 이제는 하산길이다 1시간 15분을 걸어 화령에 도착하며 14구간을 완주한다. 백두대간 종주 - 13구간 (큰재~지기재) 1. 13구간 (큰재~지기재) 들머리: 큰재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우하리 522-2번지 날머리: 지기재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석산리 77-1번지 산행 일시: 2020년 6월 13일 산행 구간: 큰재~회룡재~개터재~윗왕실재~백학산~개머리재~안심산~지기재(약18.5km) 산행 시간: 6시간 35분 (대간18.5km, 접속0km) 2. 산행 후기 이번 13구간은 백두대간에서 가장 낮은 구간이다. 큰재는 충청북도 영동에서 경상북도 상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다. 큰재에는 백두대간생태교육장이 있는데, 이곳은 인성국민학교에서 옥산초등학교 인성분교로 바뀌었고 옥산초등하교로 통합되면서 인성분교는 폐교되고 개조하여 운영하고 있다. 들머리 큰재에서 06시 38분에 산행을 시작하여 회룡재, 개터재까지는 완만한 길이다. 개터.. 백두대간 종주 - 12구간 (추풍령~큰재) 1. 용문산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능치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웅북리에 걸쳐 있는 산. 자연환경 용문산 일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으로 상주시 청리면과 공성면에서 김천시 어모면 서부 지역을 지나 영동군 추풍령면과 김천시 봉산면까지 북동~남서 방향에 대상으로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화강암은 다른 암석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화와 침식 작용에 약하여 비교적 낮은 구릉지와 산지나 분지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백두대간의 산줄기임에도 높이 800m 이하의 대체로 낮은 산봉우리와 능선으로 이루어진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출처:향토문화전자대전 2. 12구간 (추풍령~큰재) 들머리: 추풍령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리 259-7번지 날머리: 큰재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우하리 522-2번지.. 백두대간 종주 - 10구간~11구간 (우두령~괘방령~추풍령) 1. 황악산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어촌리, 상촌면 궁촌리에 걸쳐 있는 산. 개설 황악산은 추풍령에서 삼도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산줄기 중간에 있는 산으로 이 일대에서 가장 높다. 황악산에서 북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여시골산-백원봉을 만들면서 쾌방령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형제봉-바람재-질매재로 이어진다. 황악산 동쪽 비탈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동쪽으로 흘러 백운천을 이루어 직지천으로 흘러들고, 북쪽 비탈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어촌천을 이루어 초강으로 흘러들며, 남서쪽 비탈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궁촌천을 이루어 초강으로 흘러든다. 2. 괘방령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과 충청북도 영도군 매곡면을 잇는 고갯길. 명칭 유래 지방도 906호선이 지나는 괘방령은 .. 백두대간 종주 - 9구간 (부항령~우두령) 1. 삼도봉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해인리,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미천리의 경계에 있는 산. 개설 삼도봉은 백두대간의 마루금이 지나는 경상북도, 충청북도, 전라북도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 높이 1,177m의 봉우리로서 김천시 부항면 해인마을에서 서북서 쪽으로 약 2.6km,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하천마을에서 남쪽으로 약 3.9km, 무주군 설천면 미천리 안골마을에서 2.2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백두대간의 산줄기는 삼도봉에서 북동쪽으로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의 경계를 이루며 황악산, 우두령을 지나 삼도봉으로 이어지며, 삼도봉에서는 남쪽으로 뻗어 내려 경상북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루며 대덕산으로 이어진다. 한편 삼도봉에서 서쪽으로 뻗어나간 산줄기는 민주지산으로 이어.. 백두대간 종주 - 8구간 (신풍령(빼재)~부항령) 1. 신풍령(빼재)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와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삼거리를 잇는 고개. 명칭 유래 빼재가 있는 지역은 과거 신라와 백제의 접경 지역으로 수많은 전투에서 많은 이들의 뼈를 묻어야 했던 것에서 유래하여 경상도 사투리로 '뼈'가 '빼' 소리가 되어 빼재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빼재의 다른 이름은 수령(秀嶺)이다. 경관이 빼어나다는 의미로 빼재로 불렸으며 이를 한자로 표기할 때 수령(秀嶺)이 되었다고 전한다. 신풍령은 빼재에 포장도로가 놓이고 '신풍령'이라는 휴게소가 생기면서 불리게 되었는데, '신풍령'은 추풍령에서 모티프를 얻어 지은 이름으로 전해진다. 출처:향토문화전자대전 2. 8구간 (신풍령(빼재)~부항령) 들머리: 신풍령(빼재)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 2051-13번.. 백두대간 종주 - 7구간 (삿갓재~신풍령(빼재) 1. 무룡산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산수리에 있는 산. 자연환경 남덕유산에서 북쪽으로 산줄기가 이어져 삿갓봉과 무룡산을 이루며 북쪽으로 동엽령을 지나 덕유산 자락으로 이어진다. 산의 동쪽 사면에서 산수천이 발원하며 산수 계곡을 이루고 있으며 덕유산 국립공원에 속한다. 2. 백암봉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병곡리에 있는 산. 자연환경 백암봉은 거창군과 무주군이 경계를 이루는 산지 능선부의 중간 지점에 있는 봉우리이다. 이 능선부 구간은 동북쪽 삼봉산에서 서남쪽으로 갈미봉-대봉-지봉-귀봉-백암봉-무룡산-삿갓봉-남덕유산으로 이어지며 백두대간 구간에 해당한다. 백암봉은 백두대간 구간에 비껴 있는 덕유산의 주봉인 향적봉으로 이어지는 능선부가 출발하는 지점이기도 한다. 등산로 상에서 백암봉은 송계 삼거리에.. 지리산 성대종주 (성삼재~반야봉~천왕봉~대원사) 1. 지리산 성대종주 (성삼재~천왕봉~대원사) 들머리: 성삼재 휴게소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노고단로 1068 날머리: 유펑마을회관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원사길 588 산행 코스: 성삼재~노고단~임걸령~노루목~반야봉~삼도봉~화개재~토끼봉~명선봉~연하천대피소~형제봉~벽소령대피소~꽃대봉~덕평봉(선비샘)~칠선봉~영신봉~새석대피소~촛대봉~삼신봉~연하봉~장터목대피소~제석봉~천왕봉~중봉~써리봉~치밭목대피소~삼거리~유평마을회관 산행 일시: 2021년 5월 22일 산행 시간: 16시간 35분 2. 산행후기 처음에는 0시에 화엄사에서 출발하는 화대종주였는데... 화엄사에서 입산시간 통제로 기다리거나 코스를 변경하거나 선택을 해야 한다. 결국 들머리를 성삼재로 변경하여 성삼재로 이동하여 성삼재휴게소를 통과한다. 화대종..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