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악산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어촌리, 상촌면 궁촌리에 걸쳐 있는 산.
개설
황악산은 추풍령에서 삼도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산줄기 중간에 있는 산으로 이 일대에서 가장 높다.
황악산에서 북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여시골산-백원봉을 만들면서 쾌방령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형제봉-바람재-질매재로 이어진다. 황악산 동쪽 비탈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동쪽으로 흘러 백운천을 이루어 직지천으로 흘러들고, 북쪽 비탈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어촌천을 이루어 초강으로 흘러들며, 남서쪽 비탈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궁촌천을 이루어 초강으로 흘러든다.
2. 괘방령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과 충청북도 영도군 매곡면을 잇는 고갯길.
명칭 유래
지방도 906호선이 지나는 괘방령은 [대동여지도]를 보면 괘방령이라 기록되어 있다.
[산경표] 에는 계방산이라 적혀 있다. 현지 주민들은 '괘뱅이'라고 발음한다. 요즘 나오는 일부 지도에는 궤방령이나 개방령이라 적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괘뱅이'라는 발음을 한자로 옮기면서 생긴 차이점으로 보인다.
이웃한 추풍령이 관로라면, 이곳은 간섭 받기 싫어하는 장사꾼들이 이용하는 상로였다. 또 조선 시대 영남의 유생들이 과거 보러 한양 갈 때 추풍령을 넘으면 추풍낙엽처럼 낙방한다는 속설 때문에 마음 약한 유생들은 추풍령 대신 이 괘방령을 넘었다 전해진다. 괘방령의 '방(榜)'자가 합격자 발표 때 붙이는 방과 같은 글자라는 사실이 이들을 괘방령으로 끌어들였던 것이다.
출처:향토문화전자대전
3. 10구간~11구간 (우두령~괘방령~추풍령)
들머리: 우두령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흥덕리 산 11번지
날머리: 추풍령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리 259-7번지
산행 일시: 2020년 2월 22일
산행 구간: 우두령~삼성산~바람재~형제봉~황악산~운수봉~여시골산~괘방령~가성산~장군봉~눌의산~추풍령(약23.2km)
산행 시간: 9시간 38분 (대간:23.2km, 접속:0km)
4. 산행 후기
1차(3구간) 산행한 지 5개월이 지나 어느덧 10차 산행이다.
10차 산행은 10구간 (우두령~괘방령) 12.5km와 11구간 (괘방령~추풍령) 10.7km를 한 번에 산행으로 진행한다.
05시 40분에 산행을 시작하여 55분을 걸어 삼성산에 지나 07시 13분에 일출을 본다.
바람재는 07시 25분에 지나고 다시 1시간 5분을 걸어 황악산에 도착한다.
운수봉과 여시골산을 지나 10시 24분에 괘방령에 도착해 식사를 하며 40여분을 머문다.
한참을 쉬고 가성산에 오르니 오후 12시 42분이다.
오후 1시 18분에 장군봉에 도착하니 괘방령에서 선발대가 메고 올라가서 세운 장군봉 표지판이 자랑스럽다.
장군봉에서 50분을 걸어 눌의산에 올라 숨을 고르면 조망을 즐긴다.
이제는 하산길이다.
눌의산에서 1시간 10분을 내려와 오후 3시 23분에 추풍령에 도착하여
10차(10구간, 11구간) 산행을 완주한다.
'백두대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종주 - 13구간 (큰재~지기재) (0) | 2022.07.02 |
---|---|
백두대간 종주 - 12구간 (추풍령~큰재) (0) | 2022.07.02 |
백두대간 종주 - 9구간 (부항령~우두령) (0) | 2022.06.22 |
백두대간 종주 - 8구간 (신풍령(빼재)~부항령) (0) | 2022.06.20 |
백두대간 종주 - 7구간 (삿갓재~신풍령(빼재) (0) | 2022.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