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대간

백두대간 종주 - 1구간 (천왕봉~성삼재)

백두대간(白頭大幹)

정의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한반도의 가장 크고 긴 산줄기.

개설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동쪽의 해안선을 따라 남쪽으로 뻗어 내리다 태백산 부근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남쪽 내륙의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으로 우리나라 땅의 근골을 이루는 거대한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2009년 3월 5일자로 개정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백두대간이라 함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설악산·태백산·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산경표에 따르면 백두산부터 원산, 함경도 단천의 황토령, 함흥의 황초령, 설한령, 평안도 영원의 낭림산, 함경도 안변의 분수령, 강원도 회양의 철령과 금강산, 강릉의 오대산, 삼척의 태백산, 충청도 보은의 속리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인 신경준이 쓴 산경표(山經表)에서 한반도의 산줄기를 대간과 정간, 정맥으로 나타낸 체계를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산경표는 1913년 활자로 인쇄된 책자가 많이 남아 있다.

과거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나라 땅의 산줄기(山徑)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졌다.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여러 갈래로 갈라진 산줄기는 모든 강의 유역을 경계 지었다. 크게 나누어 동·서 해안으로 흘러드는 강을 양분하는 큰 산줄기를 대간·정간이라 하고 그로부터 다시 갈라져 하나하나의 강을 경계 짓는 분수 산맥(分水山脈)을 정맥이라 하였다.

출처:한국민족대백과

 

국토연구원산맥지도 2005년 발표


1. 백두대간의 마루금 하늘길을 걷다.
산악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하는 백두대간 종주는
남북으로 갈라진 휴전선이 아니라면 백두산에서 지리산으로 남진 종주를 할 수 있겠지만,
우선은 지리산에서 진부령으로 북진 종주를 하여 무사히 진부령에서 웃었으면 한다.

2. 1구간 (중산리~천왕봉~성삼재)
들머리: 지리산 중산리 탐방안내소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지리산대로 345
날머리: 성삼재 휴게소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노고단로 1068
산행 일시: 2019년 11월 9일
산행 구간: 중산리~로터리대피소~천왕봉~제석봉~장터목대피소~연하봉~삼신봉~촛대봉~세석대피소~영신봉~칠선봉~선비샘~벽소령대피소~형제봉~연하천 대피소~토끼봉~화개재~삼도봉~노루목~임걸령~노고단 고개~성삼재(33.6km)
산행 시간: 14시간 (대간:28.2km, 접속:5.4km)

3. 산행 후기

지리산은 금강산, 한라산과 더불어 삼신산(三神山)의 하나이며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걸쳐 있으며 1967년 12월 29일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이다.

천왕봉(1915.4m)은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과 함양군 마천면 경계에 솟은 지리산의 최고봉이다.

 

1구간 산행은 일박팀과 무박팀으로 나누어

일박팀 10명은 동서울터미널에서 8일 아침 7시에 고속버스를 타고 백무동에 도착하여

천왕봉~새석대피소(일박)~성삼재 코스로 산행하고 무박팀 28명은 처인구청에서 8일 22시에 출발한다.

중산리에서 새벽 3시 15분에 시작한 무박팀은
개천문(개선문)으로 들어가 천왕봉에서 일출을 보고 통천문으로 나와

지리산 천왕봉 일출

세석대피소에서 과일로 아침식사를 하고

지리산 영신봉에서 김해 분성산에 이르는 낙남정맥을 배우며

벽소령대피소에서 일박팀이 준비한 라면과 누룽지를 먹고
함께 날머리인 성삼재로 걸어갔다.
노고단에서 일몰을 보며 내려오는 후미를 기다려

노고단 일몰

1구간 지리산 종주 산행을 마치고
하산식은 지리산 흑돼지로 즐거움을 더하였다.